top of page

이집트 개요

​이집트 개요

  • 위 치 : 아프리카 대륙 북동쪽 22도~32도 사이

  • 국 명 : 이집트 아랍 공화국

  • 면 적 : 100만 평방킬로미터

  • 인 구 : 7071만 2천명 (2002년)

  • 밀 도 : 70.7명

  • 수 도 : 카이로

  • 언 어 : 아라비아어

  • 종 교 : 이슬람교 (국교)

  • 국내총생산 : 2580억불

  • G.N.P : 3700불 (2001년)

  • 무역수지수입 : 164억불

  • 수출 : 71억불

벽화

이집트 역사

 

기원전 4천년경 바다리문화의 번성을 시작으로 세워진 이집트의 고대문명은

 나일강을 따라 농경생활을 한 고대 이집트인에 의해 만들어진 고대문명의 발상지이다.

 남북으로 1500키로미터, 동서로 1100키로미터의 사각형 모양을 한 이집트의 면적은

 약 백만 평방키로미터로 우리나라의 남북한 면적의 약 5배의 크기이다.

 북쪽은 지중해, 남쪽은 누비아 사막과 6개의 폭포, 서쪽으로 리비아 사막.

 그리고 동쪽은 아라비아 사막과 홍해가 둘러싸고 있는 이집트는 이민족의 침입이나

 문화의 유입없이 나일강을 따라 발전한 찬란한 고대문명이다.

  

 기원전 3천년경 초기왕조시대를 연 상이집트 출신 나르메르왕에 의해

 최초로 이집트 전역을 통일한 이집트 왕조는

  고왕국시대(BC.2650-2180년경/ 3왕조-6왕조 피라밋건축시대)와

 제1 중간기(BC.2180-2040년경/7왕조-10왕조)를 통해 혼란했던 이집트는

 테베(현재 룩소)출신 멘투호텝2세에 의해 재통일되면서

 중왕국시대(BC.2040-1785년경/11왕조-12왕조)가 꽃을 피웠으나

 이민족인 힉소스의 침입으로 인해 제2 중간기(BC.1785-1565년경/13왕조-17왕조)를 겪은 이집트는 이들 힉소스족을 몰아낸 아하메스왕에 의해

 신왕국시대(BC.1565-1070년경/18왕조-20왕조)가 열리면서 툿트모스3세때에는

 고대 이집트 역사상 가장 큰 영토와 부를 축척한 전성기를 누리게 되며

 람세스1세에 의해 세워진 19왕조는 그 유명한 람세스2세에 의해 카르나크신전,

 룩소신전의 증축을 비롯해 아부심벨 대신전등 무수히 많은 신전들을 이집트 전역에

 세움으로써 찬란했던 고대 이집트 문명의 유산을 우리에게 안겨주었다.

벽화2
벽화3

​이집트 기후

사하라 사막과 중근동 아시아로 이어지는 건조지대에 속한 이집트는 알렉산드리아 도시가 있는 지중해 연안은 지중해성 기후로 겨울이 우기철이며 년강우량 150-200밀리미터의 비가 오나 남쪽으로 카이로에 이르면 년강우량 25밀리미터로 격감하였다가 룩소와 아스완지역을 비롯한 남쪽 국경지역은 년강우량이 불과 2밀리미터 밖에 되지않아 전혀 비가 내리지 않는다. 이근처에서는 비가 오지 않으므로 진흙 벽돌로 집을 지은 것을 많이 볼수가 있다.

  

 계절은 크게 2계절로 나뉘어 지는데

 11-3월 사이는 겨울철로 비가 내려 아침저녁으로 시원하고 5-9월 사이는 여름철로 구름 한점 없는 태양 빛이 강열한 덥고 건조한 계절이다.  3-5월 사이는 서쪽에서 불어 오는 계절풍에 의해 더운 모래바람을 일으키는데  이 계절풍을 캄신(아랍어로 50을 의미)바람이라고 한다.

  

 기온은 온대로부터 아열대에 속하며 대체로 여름철을 제외하고 온화한 편이다.

  

  ::: 지역별 평균온도 :::

 

온도
풍경

이집트 지형

 

아프리카 동북쪽에 위치한 사각형 모양의 이집트 지형은 나일강 계곡과 삼각주.

시나이반도 남부의 산지와 홍해변의 산지. 남서부의 카비르산지 등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나일 삼각주를 제외하면 나일강을 사이에 두고 크게 4지역으로 나뉘어진다.

  

 

  • 나일강 유역과 삼각주지역 :

 나일강의 전체길이 6670키로미터 중에 하류유역에 속하는 1450키로미터가 이집트에 속한다. 북쪽에 위치한 나일 삼각주는 남북 길이 170km 동서 길이 200km의 면적 2만 평방키로미터가 넘는 비옥한 농경지로 부채꼴 모양을 하고있다.

  

 

  • 서 사막지역 :

 나일강 서편은 사막지역으로 리비아와 국경을 이루고 서남쪽지역은 수단과 접하며 이집트 전국토의 2/3를 차지하는 사하라 사막의 일부이다. 북부는 지중해와 면하며 남부는 1000미터가 넘는 화산성 카비르산지와 해면 아래 130여 미터나 낮은 카타라 저지 등 와지가 있어 지하수가 풍부하여 곳곳에 오아시스가 많이 있다.

  

 

  • 동 사막지역 :

 나일강 동편으로부터 홍해연안까지 남북으로 긴 이지역은 1500미터가 넘는 높은 산맥들이 뻗어있다.

  

 

  • 시나이지역 :

 이집트에서 가장 높은 산인 카트리나 산<2642m>이 있는 시나이반도는 동쪽으로 이스라엘과 접하고 있으며 남부는 동사막지역의 연속으로 험준한 산지가 이루어져 있고 홍해변을 따라 아름다운 산호초가 서식하는 청역해역을 접하고 있다.

풍경2
풍경4
풍경3

고대 ​이집트인과 언어

고대 이집트인은 이곳 원주민이었던 함족계통의 니그로이드와 셈족계통의 피가 섞인 민족이다. 그리하여 언어도 아프리카적인 요소가 가미된 함어와 셈어가 섞여 발달하였다.

  

 그리스어로 "신성하다"는 뜻의 <Hieros>와 "새기다,조각하다"라는 뜻의 "<Gluphein> 이 결합된 말인 상형문자는 거의 3천년 동안이나 사용되었다.

  

 고왕국시대의 신관들은 상형문자의 간략서체인 신관문자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BC 7세기경부터는 그림이 없는 속기체인 민중문자가 사용되었다가 BC 3세기경부터 콥트어가 고대 이집트어로부터 새로운 문자체계가 생겨 사용하였다.

  

 AD 7세기경 이슬람제국이 이집트로 들어온 이 후 고대 이집트어인 상형문자는 사라지고 오늘날까지 아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나 콥트기독교인 애굽정교회에서는 아직도 예배를 인도하는 전례의식을 행할 때 고대 이집트어인 콥트어를 사용하고 있다.

 

언어
bottom of page